반응형
🐾 2025년 8월부터 동물병원 진료비, ‘병원 내부’에도 반드시 공개됩니다!
반려인 1,000만 시대!
반려동물은 이제 가족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동물병원 진료비는 병원마다 달라 비용 예측이 어려웠고, 사전 안내도 부족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5년 8월 2일부터 동물병원의 진료비 공개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 핵심 요약: 홈페이지 + 병원 내부 동시 게시 의무화
- 시행일: 2025년 8월 2일
- 대상 병원: 전국 모든 동물병원
- 게시 항목: 정부 지정 진료 항목 20종
- 위반 시: 과태료 최대 100만 원 부과 가능
📋 진료비 공개 대상 20종
- 초진료
- 재진료
- 입원비
- 종합백신
- 광견병 백신
- 켄넬코프 백신
- 코로나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 혈액검사
- X-ray 검사
- CT 촬영
- MRI 촬영
- 초음파 검사
- 심장사상충 예방
- 외부기생충 예방
- 구충제
- 기본 스케일링
- 발치 수술
- 중성화 수술
- 마취비
📍 게시 방식은 어떻게?
- 병원 내부: 대기실, 입구 등 환자와 보호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인쇄물, 벽보 등으로 게시
- 홈페이지: 홈페이지가 있다면 메인 화면 또는 고정 메뉴에 진료비 안내를 링크 또는 표시 (SNS, 블로그 제외)
⏰ 계도기간은 10월까지
- 2025년 8월 2일 ~ 10월 31일: 계도기간
- 2025년 11월 1일부터 본격 단속 및 과태료 부과 가능
- 미게시 또는 형식적 게시 시 과태료 최대 100만원
🤔 왜 도입됐을까?
반려인들의 불만이 많았던 진료비 투명성 문제를 해결하고,
병원 간 가격 차이 완화, 보호자의 병원 선택권 보장을 위한 정책입니다.
기대 효과
- 진료비 비교 가능 → 병원 선택 폭 확대
- 펫보험 활성화 → 보호자 비용 부담 완화
- 진료 전 비용 인지 → 갑작스러운 지출 방지
🐶 반려인에게 유용한 활용법
- 방문 전 홈페이지에서 진료비 확인하기
- 다른 병원과 비교해 보고 선택하기
- 장기 치료 시 펫보험 가입 고려하기
📝 정책 요약
시행일 | 2025년 8월 2일 |
게시 대상 | 진료 항목 20종 |
게시 위치 | 병원 내부 + 홈페이지 |
계도기간 | 2025년 10월까지 |
과태료 | 최대 100만 원 |
📌 마무리
이번 정책은 반려동물 의료비에 대한 신뢰 회복과 공정한 진료비 체계를 만드는 데 중요한 기점이 될 것입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모든 분들이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